마음을 치유하는 예술의 힘: 미술치료와 '그림의 힘' 리뷰
어린 시절, 미술관은 저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녔어요. 오후 햇빛이 붉게 물들 때까지 상상력을 배경으로 작품을 감상하며, 그 메시지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공간이었죠. 어른이 된 지금도 가끔 아무 생각 없이 작품을 감상하고 싶은 생각이 들어요. 한 장의 이미지가 백 마디 말보다 더 큰 위로가 된다고 하죠.
우리는 살면서 마음이 공허하거나 힘들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그럴 때, 상대방의 위로의 말이 도움이 되지만, 우리 마음 속 깊은 곳까지 와 닿는 것은 언어가 아니에요. 말로 진행되는 치료는 생각, 사고, 평가, 판단하게 만들어요. 그러나 언어는 상처에 닿기 어렵지만 감각은 가능해요. 사람의 고통을 처리하는 뇌 영역은 언어보다 감각 정보가 더 잘 닿기 때문이죠. 그래서 힘들 때는 눈으로 보는 것과 몸으로 느끼는 것이 큰 영향을 끼쳐요.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은 고통의 시간에 큰 위로와 힘이 돼요. 미술치료에는 다양한 근거가 있어요. 우리는 색을 보고 본능적으로 연상을 하게 되죠. 색채에 대한 연상에는 개인적 심리나 경험이 반영돼요. 미술치료는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돼요.
미술치료의 정의와 효과
미술치료란 무엇일까요? 영화 <기생충>에 나오는 기정의 대사를 기억하시나요? 기정은 미술심리를 전공하는 학생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며 다송이의 그림을 해석해요. 이렇게 그림을 통해 사람의 심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을 '미술치료'라고 해요. 미술활동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이나 마음의 문제를 표현하고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법이죠.
오늘은 휴식을 위해 그림 한 점을 만나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림 속 상상의 여행은 곧 당신의 휴식이 될 거예요. 그림은 정말 사람을 치유할 수 있어요. 모든 예술은 인간의 마음이니까요.
"그림의 힘"은 예술을 통해 복잡한 감정들을 치유할 수 있다고 이야기해요. 첫 번째 요소는 색채예요. 우리는 색을 볼 때 본능적으로 어떤 느낌을 떠올리게 돼요. 빨간색은 강렬하고 정열적인 느낌, 파란색은 시원하고 탁 트인 느낌, 노란색은 경쾌하고 귀여운 느낌을 줘요. 이러한 연상에는 개인적 심리나 경험이 반영돼요. 미술치료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해요.
두 번째로, 작품 안의 심리적 요소들은 작품 밖에 있는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쳐요. 예술가가 지닌 자아의 리비도는 작품 속 등장인물과 예술가 자신을 동일시해요. 이는 창작자와 등장인물 간의 전이라고 표현해요. 중요한 것은 등장인물을 바라보는 작품의 감상자와 작품 사이에도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점이에요.
'그림의 힘'에서 다루는 주제들
책 "그림의 힘"은 다섯 가지 파트로 구성되어 있어요. 일, 관계, 부와 재물, 시간 관리, 그리고 나 자신이죠. 첫 번째 파트에서는 일에 대해 다뤄요. 마티스는 사물의 가장 본질적인 형태에 도달하기 위해 300번 넘게 관찰하고 200번 넘게 드로잉했다고 해요. 두 번째 파트는 관계예요. 이중섭의 "해와 아이들"이 인상적인 작품이었어요. 세 번째 파트는 부와 재물이예요. 이 파트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은 카라바조의 "속임수를 쓰는 사람들"이었어요. 네 번째 파트는 시간 관리예요.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은 모네의 "루앙 대성당 연작"이었어요. 이 연작은 다양한 시간대에 걸쳐 루앙 성당의 모습을 그려냈어요.
시간대별로 빛이 달라지면서 성당의 모습도 다르게 보이죠. 다섯 번째 파트는 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이에요. 가장 인상 깊었던 작품은 카라바조의 "나르키소스"였어요. 이 작품을 통해 저자는 독자에게 내가 비친 물속에는 무엇이 들었는지 그려보라고 이야기해요.
이 책의 좋은 점은 몇 가지가 있어요. 첫째, 책이 어렵지 않아요. 기존의 예술 서적들과 달리 이 책은 미술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아요. 그저 작품을 바라보고 느껴지는 감정과 그 감정이 만들어내는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어요. 둘째, 미술 치료와 관련된 심리학 용어들을 어렵지 않게 풀어냈어요. 셋째, 책의 분량이에요. 그림의 양도 많고 책 사이즈도 작아서 텍스트의 양이 많은 편은 아니에요. 심리학적인 정보를 담고 있지만, 그림 감상을 위한 것이지 정보 축적을 위한 것이 아니라서 굉장히 편하게 읽을 수 있어요.
'그림의 힘'의 재출간 배경과 추천 이유
"그림의 힘"은 2015년도에 초판 발행된 이후 올해 다시 리커버 된 책이에요. 코로나로 인해 우울해지고 움츠러들기 쉬운 이 시기에 활력과 위안을 전달하고자 다시 리커버 되었어요. 저자인 김선영 교수님은 세계미술치료 학회장으로 활동하셨고, 최근에는 코로나19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전문 상담을 진행하고 계세요. 미술 치료계의 전문가로 꼽히는 분이니만큼 책을 통해 치유의 경험을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현대인들은 신경 써야 할 일들과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일들까지 모두 짊어지고 살아가느라 고달파요. 나만의 시간을 가질 때에도 걱정거리들은 쉽게 사라지지 않죠. 만약 나의 고민들을 예술로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그림의 힘"에서는 예술을 통해 복잡한 감정들을 치유할 수 있다고 이야기해요.
미술치료에는 다양한 근거가 있어요. 색채와 감각 정보가 고통을 처리하는 뇌 영역에 닿기 때문이죠. 작품 안의 심리적 요소들은 작품 밖에 있는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쳐요. 예술가가 지닌 자아의 리비도는 작품 속 등장인물과 예술가 자신을 동일시해요. 이는 창작자와 등장인물 간의 전이라고 표현해요. 중요한 것은 등장인물을 바라보는 작품의 감상자와 작품 사이에도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점이에요.
"그림의 힘"은 다양한 감정을 담은 작품들을 통해 우리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도와줘요. 가장 인상 깊었던 작품은 카라바조의 "나르키소스"였어요.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는 말과 함께 "검토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고 말했어요. 이는 곧 살아갈 가치가 있는 삶은 검토하는 삶이라는 의미죠.
이 책을 통해 내 안에 새로운 변화를 찾고 싶은 분들, 휴식을 위한 미술책을 찾으시는 분들, 미술치료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특별히 추천해요. 작품을 볼 때 정보보다 감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분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에요. 이렇게 오늘은 당신에게 가장 가까운 미술관 "그림의 힘"을 리뷰해 봤어요.
'아동미술심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미술학원에서 비교 심리학의 4가지 핵심 요소 (0) | 2024.08.11 |
---|---|
부산 아동미술학원 초등학생 밝은 미래를 위한 미술교육의 핵심 요소 (0) | 2024.08.10 |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의 다른점 알아보자 (0) | 2024.06.15 |
유아미술학원 아이 그림 실력 비교하지 말기 (0) | 2024.05.28 |
아이 불안 해소 방법과 강박 극복 (0) | 2024.05.27 |